Pygopus lepidopodus
lepidopodus.bsky.social
Pygopus lepidopodus
@lepidopodus.bsky.social
360 followers 270 following 3.2K posts
임상의학 연구자 / 하지만 돌팔이 / This character is a bit queer… 🏳️‍🌈 / Threads: https://www.threads.net/@lepidopodus / Twitter: https://twitter.com/lepidopodus / Mastodon: https://planet.moe/@lepidopodus
Posts Media Videos Starter Packs
Reposted by Pygopus lepidopodus
Reposted by Pygopus lepidopodus
와 종묘가 이렇게 멋진 곳이었구나. 그런데 여기 바로 바짝 붙어서 고층 건물을 짓겠다고? 부산에서 그 멋진 해운대 바다선을 엘시티가 망쳤는데 그 짓을 서울에서 하겠다고? 아이고... 두야...
그 사람들이 매출을 안만드는 것도 아닐텐데 (광고 뜨잖아)
계정이 그냥 날라가버리는 사람들 보면 그래도 트위터에 남아있으려는 사람들 많은데, 그런 충성도 높은 유저들을 내보내려 드는걸 보면 정말. 돈 안되면 상관없나.
예전에 머스크가 인수한 트위터의 종말은 빅뱅이 아니라 빅 프리즈인가 아무튼 그런 비슷한 것일거라 했지 서서히 식어가는 그런거
Reposted by Pygopus lepidopodus
8년이 지나 인건비 상승은 생각 못하도록 문 재임 시기인 2017연은 강조하지만 작년 2024년은 쓰지 않고 지난해로만 퉁치는 기적의 마사지.
숫자로 년도를 쓰면 비교가 한눈에 쉽기 때문에 자주쓰이는 눈가리고 아웅의 방법.
Reposted by Pygopus lepidopodus
보도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여러 나라 관리들에게 개인적으로 전화를 걸어 협정을 계속 지지하면 금융 등 분야에서 불이익을 줄 수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아시아 국가 대사는 협정에 찬성하면 자국 선원들이 더는 미국 항구에서 하선하지 못할 것이라는 경고를 받았으며 카리브해 국가 외교관들은 미국 입국이 금지될 수 있다는 위협까지 받았다. 이 밖에도 관세 부과, 제재, 외교관 비자 취소 등 다양한 형태로 가해진 위협이 결국 협정 무산에 효과를 발휘했다고 외교관들은 전했다.

불량국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 기후협약 무산시키려 각국에 협박 전화…“동네깡패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EPA 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세계 기후변화 협정을 무산시키기 위해 각국에 ‘협박 외교’를 했다고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n.news.naver.com
Reposted by Pygopus lepidopodus
파랑새가 로고였던 SNS를 13년 정도 했다.
사실 바로 어제 아침까지도 했다.

교류도 했고, 나름 이것저것 모아서 리스트업도 했는데 계정 5개 가량이 한번에 사라지는 걸 보고 소위 말하는 현타가 세게 왔다.

디지털 시대의 정보값이란 남이 만들어둔 플랫폼에 쌓아두면 그 플랫폼이 멍청한 운영으로 개박살나는 순간 내 자료들도 순식간에 사라져버린다는 것도 포함해서.

계정이 복구된다고 하더라도, 언제 다시 알 수 없는 이유로 사라질지 마음졸여야 하는 곳에 내 터를 계속 둘 수는 없다는 생각을 했다.
Reposted by Pygopus lepidopodus
읍내펌)

드디어 케데헌이 민주주의 투쟁가의
글로벌 시대를 여는 중.
골든 to VOTE

.

x.com/woochick2/st...

We're gonna vote vote vote It's our moment
You know together we're voting
Gonna be gonna be voting
Oh oh oh Vote vote vote with our voices
영원히 깨질 수 없는
Gonna be gonna be voting
트위터 계정 썰리는 사람 속출하고 하지만 봇 트윗은 근절되지 않지…
Reposted by Pygopus lepidopodus
"어제 선거에서 이긴 후보 중 누구도 성평등이나 성소수자 권리를 말하는 걸 주저하지 않았다. 그런 주제가 젊은 남성들을 소외시킬 거라는 가설을 배격한 것이다. 그리고 그게 옳았다."

한국 만주당도 새겨들어야 할 것
"All of these candidates who won last night didn’t shy away from talking about gender equality and LGBTQ rights. They didn’t buy the theory that doing so would alienate young men. And they were right. Stick that in your pipe and smoke it, Mr. Carville."

charlotteclymer.substack.com/p/what-young...
What Young Men Problem?
Democrats won clear majorities of this constituency.
charlotteclymer.substack.com
Reposted by Pygopus lepidopodus
유승민 지금보다 더 큰 권력 손에 쥘만큼 유능하지도 않아 보이고... 유승민 딸도 뭔가 힘있고 대단한 자리 차지할 깜냥은 없어 보이는데... 이렇게까지 몸 던져 충성해주는 것들이 많은 거 보면,
그들만의 세상에 그들만의 왕후장상이 분명히 있는 거지.
Reposted by Pygopus lepidopodus
이민자, 트랜스, 흑인 여성, 싱글맘. 한국 언론에서 어떻게 한 줄 보도를 안한다. ㅎㅎㅎ. 그들에겐 무겁지 않은 단어이기 때문일 것이다.
백래시에는 백백래시가 있다. 터닝포인트가 되길.
Reposted by Pygopus lepidopodus
그리고 윤석옅, 이준석을 토템 삼아서야 어떻게 문화력을 키우겠음. 현재 젊은 세대, 특히 남성들의 문제는 구매력 때문만도 아님. 뭔가 토템을 이상한 걸로 정함. 기성세대에 저항하기 위해서 개꼰대의 화신을 신령으로 모시기 시작함. ㅋㅋㅋ 뿌리 썩은 나무는 바람에 휘둘릴제...
Reposted by Pygopus lepidopodus
Reposted by Pygopus lepidopodus
1) 전국민에게 태어나자마자 국가기관에 출생을 등록해 일련번호를 부여받도록 하고 있으며,
2) 성인이 되면 개인 식별이 가능한 생체인식코드(지문)를 국가에 제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3) 1을 마치지 않으면 금융거래와 통신을 이용 못해서 사람으로서 생활이 불가능하도록 만들었고,
4) 이를 바탕으로 국가가 맘만 먹으면 개인의 행적을 구체적으로 추적할 수 있음(코로나 당시 동선 추적)

자, 누가 감시형 디스토피아지?
중국 얘기가 나왔으니 또 하는
불편할 수 있는 소신발언

중국(을 비롯해서 과거에 존재했던 현실사회주의 국가들)이 엄청 심한 감시 체계를 갖춰서 사람들을 감시했다는 얘기를 많이 들을 수 있는데

그... 일단 대한민국은 50년 넘는 세월동안 모든 국민 한명 한명을 숫자로 코드화 시켜서 관리하고 있고, 면적 및 인구 대비 CCTV 설치된 정도는 오히려 대한민국이 더 심합니다.. 우리가 뭐 어디 다른 나라 보고 감시 많이 한다 욕할 처지가 전혀 못됨
Reposted by Pygopus lepidopodus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건지…AI 기점으로 job opening 숫자는 줄어들고 회사 스탁은 올라가고. AI 이전에는 이 둘의 방향성이 비슷한 패턴이었는데.
Reposted by Pygopus lepidopodus
에서도 한국사회의 차별/혐오 실태 방영!

최근 집중 가시화된 혐중 뿐 아니라,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부터 트랜스젠더 차별, 전장연 활동가나 오픈리 퀴어 아티스트에게 가해진 린치 등등을 당사자/관련 단체/변호사들 직접 인터뷰.
교육현장 문제, 온라인 혐오, (그놈의)역차별 양비론이 성립 안 된다는 것과 다름에 대한 배제가 결국 계엄사태에까지 이르렀음도 짚음.
차별금지법 필요성으로 결론. 개독이 20년째 막고 있음도 적시.
youtu.be/hjm7mfJd_fg?si=XdDX1NJegFHsUN3Q
이상해, 싫어, 사라져 | 윤석열은 가고 혐오가 남았다 [풀영상] | 창 523회 (KBS 25.11.4.)
YouTube video by KBS시사
youtu.be
코스피의 기록적 상승에 이어진 기록적 폭락, 하긴 단기간에 엄청 오르긴 했고 그래서 변동성 주의하라는 말도 있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