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Media
Videos
Starter Packs
Reposted by 문녹주
단순한생각
@nfsc.bsky.social
· Jun 24
문녹주
@moonnokju.bsky.social
· Jun 15
문녹주
@moonnokju.bsky.social
· Jun 15
나 첫 출판 번역할 때 아주 당연하게 워드에 작업해 보냈더니 출판사에서 깜짝 놀랐지...
Reposted by 문녹주
fimBuLveTr
@frosteye.net
· Jun 15
성심당의 인기요인이 ‘한풀이’라는 글을 읽었는데 웃긴데 또 묘하게 말이 되는 구석이.
이 글의 주장처럼 재료를 오버해서 넣는 과함이 주는 심리적 위안을 생각하면 한때 인기 많았던 일본 편의점 판매 슈크림이 떠오름.
이게 슈가 엄청 많이 들어가서 먹을 때마다 막 흘러내리고 가끔 손에 묻고 그랬는데 한국인들이 꽤 열광했었다. 그런데 몇몇 일본인 트위터 유저들이 슈가 너무 과하다며 양을 줄이는 게 밸런스가 맞을 것 같다고 하여 한국인에게 충격을 주었던.
이런 재료에 대한 심리적 허기 같은 게 한국인에게 좀 큰 것 같단 생각이.
이 글의 주장처럼 재료를 오버해서 넣는 과함이 주는 심리적 위안을 생각하면 한때 인기 많았던 일본 편의점 판매 슈크림이 떠오름.
이게 슈가 엄청 많이 들어가서 먹을 때마다 막 흘러내리고 가끔 손에 묻고 그랬는데 한국인들이 꽤 열광했었다. 그런데 몇몇 일본인 트위터 유저들이 슈가 너무 과하다며 양을 줄이는 게 밸런스가 맞을 것 같다고 하여 한국인에게 충격을 주었던.
이런 재료에 대한 심리적 허기 같은 게 한국인에게 좀 큰 것 같단 생각이.
Reposted by 문녹주
문녹주
@moonnokju.bsky.social
· Jun 15
문녹주
@moonnokju.bsky.social
· Jun 15
문녹주
@moonnokju.bsky.social
· Jun 15
문녹주
@moonnokju.bsky.social
· Jun 15
Reposted by 문녹주
laystall 🇵🇸
@laystall.bsky.social
· Jun 15
Reposted by 문녹주
Reposted by 문녹주
이소
@lisao.bsky.social
· Jun 14
Reposted by 문녹주
이소
@lisao.bsky.social
· Jun 15
문녹주
@moonnokju.bsky.social
· Jun 15
문녹주
@moonnokju.bsky.social
· Jun 13
문녹주
@moonnokju.bsky.social
· Jun 12
Reposted by 문녹주
이소
@lisao.bsky.social
· Jun 3
Reposted by 문녹주
gree
@coolcooluumm.bsky.social
· May 21
부모님의 요구력엔 가끔 헛기침 나옴... 목화솜만 넣은 성분 장난질 안친 꽉찬 솜이불을 요즘 어디서구해... 문익점 하는게 빠를듯
Reposted by 문녹주
Reposted by 문녹주
Reposted by 문녹주
보다
@jeongsoyeon.kr
· May 21
Reposted by 문녹주
muneo
@literaryfish.bsky.social
· May 18
정로환正露丸은 그보다 이전부터 나온 약입니다, 일본 다이코(大幸)약품이 정로환을 1954년 상표등록을 했지만 1974년, 2008년 두번에 걸쳐 '이미 보통명칭화'되었다고 재판에서 판결, 다이코약품의 상표등록이 취소되었고 여러 회사에서 만들어지게 됩니다.
한국도 마찬가지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참고로 정로환의 원래 이름인 征露丸은 '러시아를 정복한 환약'이라는 뜻으로...(쿨럭)
한국도 마찬가지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참고로 정로환의 원래 이름인 征露丸은 '러시아를 정복한 환약'이라는 뜻으로...(쿨럭)
정로환이 70년대에 만들어져서 50년째 사랑받고 있는 약이래요
한국전쟁 끝난 후 영양상태도 위생도 안 좋으니 배탈로 죽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창업주가 개발했다고 함
'배탈로 죽는다'는 게 순간적으로 받아들여지지가 않아서 뭐? 했는데 바로 다음 순간에 아, 운수 좋은 날...
이래서 필수교육이 있는 거고 이래서 그 수많은 비판점에도 불구하고 지나간 세대의 문학을 배워야 하는 거구나 (갑작스러운 깨달음)
한국전쟁 끝난 후 영양상태도 위생도 안 좋으니 배탈로 죽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창업주가 개발했다고 함
'배탈로 죽는다'는 게 순간적으로 받아들여지지가 않아서 뭐? 했는데 바로 다음 순간에 아, 운수 좋은 날...
이래서 필수교육이 있는 거고 이래서 그 수많은 비판점에도 불구하고 지나간 세대의 문학을 배워야 하는 거구나 (갑작스러운 깨달음)
Reposted by 문녹주
🌈 고율 (現 이라기 시르타)
@koyuli.bsky.social
· May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