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리
banner
emilily.bsky.social
에밀리
@emilily.bsky.social
트위터 그 고독한 괴식가는 더이상 고독하지 않아!
Reposted by 에밀리
벌금 총액은 수천만원씩 나왔지만,

각각의 항목 별로는 의원직 상실 기준이 안되게 책정되서 의원직 유지…

예: 나경원 국회선진화법 위반 400 + 다른 것들 2000 / 의원직 상실 기준: 국회선진화법 위반 500 이상일 때
November 20, 2025 at 6:14 AM
Reposted by 에밀리
거의 매주 한번은 여길 가는데 저는 아름다운 건물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건물을 지으면 100년은 쓸 것을 생각하고 지어야하는거 아닌가.. 라는게 제가 늘 하는 생각입니다. 한국의 건물은, 특히 요즘 건물은, 그냥 20년이면 재개발하겠지~ 라는 마음으로 대충 만드는 경우가 너무 많다는 생각...
November 20, 2025 at 3:09 AM
Reposted by 에밀리
이재명에게 경제발전을 바라고 뽑은 사람 거진 없음. 피의 숙청을 하라고 뽑아준거지
November 12, 2025 at 12:54 AM
트위터에서 보고 함 검색해봤는데 호바트가 있는 태스매니아는 아예 데이터가 없는거 실화임?? NT는 약간 차별의 요소가 있을수 있으니 뺐다 치고(indigenous people이 가장 많이 사는 곳 중 하나라고 알고있음… 틀렸다면 정정해주세요 환영)
November 20, 2025 at 7:26 AM
Reposted by 에밀리
맨날 나오는 소리, 기업이 무슨 자선사업 하냐? 이런 말인데.. 우리나라 역사상 자선사업 근처에라도 갈만큼 고용 노동자들을 대우해준 기업은 존재한 적 없었고 지금도 없습니다. 기업을 아무리 조이고 조여도 부족하지 않아요.
November 20, 2025 at 4:54 AM
Reposted by 에밀리
한국의 노동자들의 기본 임금이 올라야한다는 너무 당연한 이야기를 한 트윗에도 길길이 날뛰며 기업 편 들어주는 인용이 난무한다는 것이 오늘도 트위터에서 인류애가 떨어지고 있는 하나의 이유다..
November 20, 2025 at 4:49 AM
Reposted by 에밀리
아아....😭😭
맛있는 비건양념치킨으로 저희의 입맛을 사로잡았던 '카페시바' 기억하시나요 지금은 폐업했지만...
12월 5일에 팝업식으로 비건양념치킨을 판매한다고 합니다!!
금요일이라 저는 가기 어렵겠네요😭 슬픕니다
November 20, 2025 at 4:33 AM
Reposted by 에밀리
위헌정당해산심판에 들어가 헌재가 위헌정당해산 결정을 내리면 의원직도 당연상실되는 것으로 박한철 아재가 정해버렸어요.
근데 이 과정은 지난하고... 쉽지 않을 것입니다.
국힘을 범죄조직으로 몰아서 해산시키면 안될까(?)
하지만 여러분. 쟤들은 빼박 유죄인 것이에요. 전과자가 되었어요.
November 20, 2025 at 6:09 AM
Reposted by 에밀리
"이로써 1심 판단이 3심까지 유지되더라도 나 의원 등은 의원직이나 지자체장 직을 유지하게 됐다.
일반 형사사건에서는 금고 이상의 형이, 국회법 위반 사건에서는 벌금 500만원 이상이 선고돼야 직을 잃는다."

그렇다고 합니다. 다방면의 투쟁에 참고하십시오.
November 20, 2025 at 6:14 AM
Reposted by 에밀리
.........야, 어떻게 현직 대통령 얼굴+어록 들어간 일력까진 알겠는데 여기다가 포카 가챠를 넣냐. 양심이 다이죠부하냐. 말하자면 국가원수의 얼굴은 적어도 재임기간 동안에는 좀 공공재에 속하는 것 아니냐고. 근데 공공재를 포카 가챠를 돌려..... 좀 너무하지 않냐....... 하, 미친 가챠의 나라가.
November 20, 2025 at 1:11 AM
Reposted by 에밀리
rt> x.com/ratm71/statu...
이게 민주 국가 체제를 치명적으로 위태롭게 한, 더없이 위중한 범죄에 대한 재판의 풍경이라는 것을 대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나?
November 16, 2025 at 7:25 AM
Reposted by 에밀리
롱폼 변태
November 16, 2025 at 5:56 AM
Reposted by 에밀리
잼정권이 문제가 아니라 얘들이 내란정당인게 문제인데 이런식으로 따옴표 쳐주는 언론이 일단 문제라니까?
November 16, 2025 at 6:33 AM
Reposted by 에밀리
전 국민이 해난사고에 대한 트라우마를 갖고 있는 나라에서 인구 천만 수도의 시장이란 사람이 자꾸 수상교통수단 안전을 등한시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게 정말 구라 같지요
November 16, 2025 at 8:17 AM
Reposted by 에밀리
로맨스 판타지 소설 대충 보자...
먼 나라 중국 이야기라고 해놓고 술탄 등장하는 알라딘 처럼....
November 16, 2025 at 8:57 AM
Reposted by 에밀리
구운몽: ??
사씨남정기: ????
옛날 옛적 교육과정에서 국어 시간에 이르기를

"한국 문학은 한국어로 되어 있고 한국 사람이 나오고 한국이 배경이어야 한다"

는 선생님 말씀을 들었으나 ....

'심청전 중국 배경이었던 거 같은데?' 라는 이유로 납득하지 못했던 과거가 있습니다.
November 16, 2025 at 9:29 AM
히히 마싯게따 애인님이 주신 선드라이드 토마토 😋
November 16, 2025 at 8:30 AM
Reposted by 에밀리
한강 버스는 명색이 버스인데, 봄엔 안개 심한 날 많을텐데 운행 못하고, 여름에 폭우내리면, 늦가을에는 수심 낮아서, 겨울엔 얼어서 운행 못하면… 그게 버스냐고 비판하지 말고 우리 나라 출근 기준을 한강버스 운행 가능한 날로 바꾸자!
November 16, 2025 at 5:25 AM
Reposted by 에밀리
"이탈리아 밀라노 검찰, 1990년대 보스니아 내전 당시의 [시민 저격 관광] 혐의에 대한 수사 개시"

"‘저격수 관광객’이라고 불린 서방 관광객들"
'군대 병사들에게 돈을 주고 사라예보 시민들을 저격하는 데 동참"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등 서방 관광객들이 비용을 치르고 재미로 사람들을 저격"
“무기를 좋아하는 극우 동조자”

“정치적 혹은 종교적 동기도 없었다. 그들은 재미와 개인적 만족 때문에 그곳으로 간 부자들”
www.hani.co.kr/arti/interna...
“돈 내고 재미로 저격”… 보스니아 내전 ‘인간사냥 관광’ 수사 개시
(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영화의 단골 소재 중 하나인 ‘인간 사냥 관광’이 실제로 일어났음을 규명하는 수사가 이탈리아에서 시작됐다. 이탈리아 밀라노 검찰은 1990년대 보스니아 내전 당시 이탈리아 등 서방 국가 시
www.hani.co.kr
November 16, 2025 at 7:39 AM
Reposted by 에밀리
사이비 넘어가는 사람들은 무슨 문제가 있다.

이런 이야기는 말이 안 됩니다…….

사이비 소속 사람들은 상대를 사이비에 끌어들이기 위해 문자 그대로 24시간 투자합니다…….

넘어간 사람들을 탓하지 마십시오……. 진짜 당해내기 힘들 것 같습니다…….
November 15, 2025 at 3:27 PM
Reposted by 에밀리
Libyan Red Crescent says it rescued 91 migrants and asylum seekers from Bangladesh, Sudan and Egypt.
Four killed after two boats carrying migrants capsize off Libya’s coast
Libyan Red Crescent says it rescued 91 migrants and asylum seekers from Bangladesh, Sudan and Egypt.
bit.ly
November 16, 2025 at 1:00 AM
Reposted by 에밀리
Kazakhstan Parliament approves anti-'LGBT propaganda' bill, a measure aimed at restricting public expression and media content related to LGBTQ identities #NOH8
November 14, 2025 at 5:26 PM
Reposted by 에밀리
근데 사실 제대로 조지려면 오히려 시간이 걸릴 수 밖에 없는지라 이번에 아예 법관들까지 조질 수 있다면 좀 기다려 줄 수 있습니다.
난 지금쯤 내란범들 다 참수하고 가담자들 다 멍석말이 조리돌림하고 12월 3일에는 민주주의 수호의 날 행사같은 거 할 줄 알았는데 뭐가 이렇노 시발.
November 15, 2025 at 2:03 PM
Reposted by 에밀리
"14살 팔레스타인 자폐 아동이 이스라엘군의 새벽 야파(이스라엘 내 팔레스타인 도시) 습격 도중 체포되었습니다. 장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당국은 그가 하마스 및 ISIS와 접촉했다는 혐의를 제기했습니다. 그는 체포 후 끔찍한 신체적, 성적, 심리적 학대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November 16, 2025 at 2:41 AM
Reposted by 에밀리
2025. 11. 13. 07:17

경매제 전권 부여·상장 수수료로 수입
리스크 작고 안정적 현금 창출 가능
농업과 무관 철강·건설 등 중견기업 진출
매년 20%대 영업이익률·수십억 배당금도
농산물 경매제 40년…도매법인 독과점만 키워
v.daum.net/v/2025111307...
"앉아서 수수료 장사" 1886억 쓸어담은 도매법인, 40년간 퇴출도 견제도 없었다[날씨는 죄가없다]④
편집자주 기후변화가 농산물 가격을 끌어올리는 '애그플레이션'이 상수가 된 시대. 가뭄과 장마, 폭염 등 이상 기후가 나타날 때마다 밥상 물가는 요동치고 있다. 작황 부진을 초래한 변덕스러운 날씨는 농산물 가격 급등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렸다. 불투명한 농산물 유통 구조는 날씨를 방패 삼아 가격을 쥐락펴락 중이다. 농민들은 공들여 키운
v.daum.net
November 14, 2025 at 3:06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