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핵심은 자사고/특목고 확대를 통한 사교육 강화(청소년기 학생의 시간을 빼앗는다)와 학자금 대출의 대중화(대학생 대다수가 빚을 지게 한다)가 아니었을까 싶다.
그 두 가지로 20대 자발적 보수화의 펀더멘탈을 구축했고 '일베' 활성화(방치) 이런 건 오히려 그 결과물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 핵심은 자사고/특목고 확대를 통한 사교육 강화(청소년기 학생의 시간을 빼앗는다)와 학자금 대출의 대중화(대학생 대다수가 빚을 지게 한다)가 아니었을까 싶다.
그 두 가지로 20대 자발적 보수화의 펀더멘탈을 구축했고 '일베' 활성화(방치) 이런 건 오히려 그 결과물이 아니었을까 싶다.
진짜 이놈과 이놈 마누라 사면의 ㅅ 자라도 꺼내는 새끼 그놈이 공화국의 적이다
진짜 이놈과 이놈 마누라 사면의 ㅅ 자라도 꺼내는 새끼 그놈이 공화국의 적이다
12.3 반란 성공했으면 무수한 시체(본인 포함)를 쌓고선 '인간 윤석열' 찬양기사 썼을거면서 뭐래냐.
—
아 저기요? 지랄하지 마십쇼.
12.3 반란 성공했으면 무수한 시체(본인 포함)를 쌓고선 '인간 윤석열' 찬양기사 썼을거면서 뭐래냐.
“자격이 없는 사람이 대통령이 됐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윤석열 개인의 책임을 명백히 해야 한다. 이렇게까지 엉망인 인간일 거라고 상상을 못 했다.”
“윤석열과 김건희의 영구집권 음모가 있다고 생각한다.”
“윤석열이란 사람이 가진 엄청난 권위주의적 성격이 한몫했다고 생각한다.”
이유는 명확했다. 12.3 내란 사태가 발생하게 된 가장 큰 원인은 ‘윤석열’이다. www.newsmin.co.kr/news/119204/
“자격이 없는 사람이 대통령이 됐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윤석열 개인의 책임을 명백히 해야 한다. 이렇게까지 엉망인 인간일 거라고 상상을 못 했다.”
“윤석열과 김건희의 영구집권 음모가 있다고 생각한다.”
“윤석열이란 사람이 가진 엄청난 권위주의적 성격이 한몫했다고 생각한다.”
이유는 명확했다. 12.3 내란 사태가 발생하게 된 가장 큰 원인은 ‘윤석열’이다. www.newsmin.co.kr/news/119204/
군국주의
전체주의
대중 선동
폭력적
국가 전복 / 권력 찬탈 기도
영구집권 기도
이 여섯 가지중 하나라도 맞는 부분이 있습니까? 그럼 파시즘이 아닌 겁니다. 파시즘이 아무리 복잡하고 줏대 없는 체제라지만, 파시즘이라는 체제를 그렇게 윾시민의 유튜브 하나 보고 단정지으시면 안 되는 겁니다.
퀴어들에게, 이러한 유혹이 있었습니까? 그렇다면 경찰에 신고하시면 되는 겁니다. 물론 "퀴어들을 결집하여 무장봉기를 일으켜 권력을 찬탈하려 한다" 는 말을 경찰이 어디까지 믿을지는 미지수군요.
군국주의
전체주의
대중 선동
폭력적
국가 전복 / 권력 찬탈 기도
영구집권 기도
이 여섯 가지중 하나라도 맞는 부분이 있습니까? 그럼 파시즘이 아닌 겁니다. 파시즘이 아무리 복잡하고 줏대 없는 체제라지만, 파시즘이라는 체제를 그렇게 윾시민의 유튜브 하나 보고 단정지으시면 안 되는 겁니다.
퀴어들에게, 이러한 유혹이 있었습니까? 그렇다면 경찰에 신고하시면 되는 겁니다. 물론 "퀴어들을 결집하여 무장봉기를 일으켜 권력을 찬탈하려 한다" 는 말을 경찰이 어디까지 믿을지는 미지수군요.
...
...
제가 아래 트윗에도 썼듯이 세부적인 부분을 조정함에 따라 내각제는 장점도 단점도 있겠지만 일단 대통령(총리)를 직선에서 간선으로 바꾼다는 점 자체가 지금 한국 유권자들이 원하는 방향이 아닙니다...
제가 아래 트윗에도 썼듯이 세부적인 부분을 조정함에 따라 내각제는 장점도 단점도 있겠지만 일단 대통령(총리)를 직선에서 간선으로 바꾼다는 점 자체가 지금 한국 유권자들이 원하는 방향이 아닙니다...
25.03.25 14:38l
최종 업데이트 25.03.25 14:38 www.ohmynews.com/NWS_Web/View...
이재명 당대표도 윤수괴가 추구한게 젤렌스키 모델(전쟁을 통한 영구집권->근데 이걸 젤렌스키가 원했나??) 이라는 단어를 쓰는거 보면 개전초나 지금이나 이 전쟁에 대한 인식이 전향적이길 기대하긴 어렵죠.
이재명 당대표도 윤수괴가 추구한게 젤렌스키 모델(전쟁을 통한 영구집권->근데 이걸 젤렌스키가 원했나??) 이라는 단어를 쓰는거 보면 개전초나 지금이나 이 전쟁에 대한 인식이 전향적이길 기대하긴 어렵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