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JHK
drjhk.bsky.social
Dr.JHK
@drjhk.bsky.social
KUMC hepatology
Reposted by Dr.JHK
"이명박 정부에서 중용"
November 16, 2025 at 11:21 PM
Reposted by Dr.JHK
변절자 새끼들이란
November 17, 2025 at 1:09 AM
Reposted by Dr.JHK
무와 굴을 넣어 밥을 하면 겨울 진미임. 굴은 뜸 들일 때 넣어 익히는 것이지만 풍미는 충분히 퍼져 나감. 굴의 염분으로 은은히 간이 되어 간장 양념장 필요 없고(평소 싱겁게 먹는 사람이긴 함) 식어도 맛있음. 누룽지는 더욱 진미.
November 17, 2025 at 7:54 AM
Reposted by Dr.JHK
덕평휴게소에서 만난 인류의 잃어 버린 꿈.
November 17, 2025 at 6:05 AM
Reposted by Dr.JHK
사형뜨겠구만. 믿습니다 스박사님
November 17, 2025 at 6:26 AM
Reposted by Dr.JHK
팀장새끼 미쳤냐 너도 꼭 너같은 팀장 만나라
November 15, 2025 at 9:11 AM
Reposted by Dr.JHK
왜냐면 맛이 없그등요

진짜로 주고 받을 사이에선 좀 더 비싸고 제대로된 물건을 주고 그냥 막 뿌리기엔 가격이 양심없음
November 15, 2025 at 9:24 AM
Reposted by Dr.JHK
개놀랐는데 존나 다행이었던 이야기
November 15, 2025 at 12:50 PM
Reposted by Dr.JHK
전 국민이 해난사고에 대한 트라우마를 갖고 있는 나라에서 인구 천만 수도의 시장이란 사람이 자꾸 수상교통수단 안전을 등한시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게 정말 구라 같지요
November 16, 2025 at 8:17 AM
Reposted by Dr.JHK
아무리 혈당 덜 올리고 성분 구성 좋은 음식을 먹어도 잠자기 3-4시간 이내에 먹는 건(혈당 기준으로 제가 규정한 야식) 몸에 안 좋다고 제가 늘 떠든 바 있습니다.

v.daum.net/v/2025111606...
"운동 안 했는데 살 빠졌어요"… 30대 女, 비결로 꼽은 것은?
매일 운동을 가던 직장인 A(30)씨는 최근 신기한 경험을 했다. 일이 바빠 2주간 운동을 가지 않았고, 평소와 비슷한 양의 식사를 했는데, 살이 자연스럽게 빠진 것이다. 단지 한 가지 습관만 바꿨었다. 운동으로 오후 9시 반에 먹던 저녁 식사 시간을 오후 6시 반으로 당겼다. 밤늦게 먹는 식사는 다이어트에 치명적이다. 몸에서 일어나는 각종 대사 반응에 악
v.daum.net
November 16, 2025 at 12:20 AM
Reposted by Dr.JHK
우리나라에서도 슬슬 설문조사하면 미국 비슷하게 한자어 가르치는거 금지해야 한다 소리 나올거 같기도 -_-
Most Americans say 'Arabic numerals' should not be taught in school
Seventy-two per cent of Republicans oppose Western world's standard numeric system, according to research designed to 'tease out prejudice among those who didn't understand the question'
www.independent.co.uk
November 16, 2025 at 4:44 AM
Reposted by Dr.JHK
정답입니다.
옛~날에 트이타이던 시절에 어느 분이 병원에서 밤에 사과 먹으면 정말 몸에 안좋냐고 물어보니 의사쌤이 ‘밤에 먹어서 좋은 음식도 있어요?’ 하고 반문했다는 이야기 보고 뎅.. 하니 뒤통수를 맞은(+) 느낌이었죠 😳
(하지만 건강따위.. 하고 밤낮없이 먹은 결과 지금의 육신)
November 16, 2025 at 3:05 AM
Reposted by Dr.JHK
'161억 기부' 23살 빌리 아일리시 "일론 머스크=한심한 겁쟁이" 공개 저격 작성 2025.11.14 09:49
news.sbs.co.kr/news/endPage...
'161억 기부' 23살 빌리 아일리시 "일론 머스크=한심한 겁쟁이" 공개 저격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빌리 아일리시가 테슬라·스페이스X의 CEO 일론 머스크를 향해 "한심한 겁쟁이"라고 직격하며 초부유층의 부 집중 문제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news.sbs.co.kr
November 15, 2025 at 12:27 AM
Reposted by Dr.JHK
참고로 저 매일신문은 TK지역 신문인데 한줄 요약하면

"조선일보보다 더한놈들"

임. 저길 부른다고 나가는거 자체가 정치인으로선 끝난거임 (끝나긴 했다)
November 15, 2025 at 9:31 AM
Reposted by Dr.JHK
아니 안내상 배우님 저번에는 내란측이셨잖..
November 15, 2025 at 9:51 AM
Reposted by Dr.JHK
트 "한국 원잠 건조 승인. 단 미국 조선소에서 지을것"

스미더스 "미국 회사 좋은일 하는거다!!!!"

트 "그럼 한화오션 소유의 필리 조선소에서 건조"

스미더스 "필리 조선소가 얼마나 구린지 아느냐!"

트 "맞네. 그럼 한국에서 만들어"

오늘도 감사합니다 리버스 원숭이손 스박사님
November 15, 2025 at 2:37 AM
Reposted by Dr.JHK
중국이 또 고구려 우리꺼야! 를 시전했나본데 그러기엔 한국 국명부터가 Korea라 무리수임 ㅋㅋㅋ
kayla on X: "A Chinese girl has recreated the costumes of the Gaogouli Kingdom in Northeast China. This kind of Gaogouli costume was influenced by the Xianbei. #fuyu_traditional_clothes #xianbei #chinese_culture https://t.co/JWNaEl4Q55" / X
A Chinese girl has recreated the costumes of the Gaogouli Kingdom in Northeast China. This kind of Gaogouli costume was influenced by the Xianbei. #fuyu_traditional_clothes #xianbei #chinese_culture https://t.co/JWNaEl4Q55
x.com
November 15, 2025 at 10:53 AM
Reposted by Dr.JHK
11월 카페꼼마 추천도서로는 양자기술 연구자인 채은미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의 첫 책 <처음 만나는 양자의 세계>를 추천했다. 그런데 이 책 이미 엄청 잘 나가고 있다는! (몰랐음) 마침 이순칠 교수의 새 책 <퀀텀의 시대>도 나와서, 비교하며 함께 읽어봐도 좋겠다.
November 15, 2025 at 12:25 PM
Reposted by Dr.JHK
이 전설적인 그래프가 한국 최근 대선만 포함해서 업데이트 되었다고.

사실 이 정도면 1020 남성 그룹하고 사회에서 교류 하는 것 자체가 리스크가 될 지경. 엄마아빠들 머리 아플 듯.
November 14, 2025 at 12:10 PM
Blood Test May Be a 'Viable Alternative' in Liver Cancer Surveillance www.medpagetoday.com/meetingcover...
Blood Test May Be a 'Viable Alternative' in Liver Cancer Surveillance
Investigational multi-target test more sensitive than ultrasound, but fell short in specificity
www.medpagetoday.com
November 15, 2025 at 1:08 AM
Reposted by Dr.JHK
서울시가 세계 문화유산인 종묘 맞은편에 최고 145m 높이의 고층건물을 허용한 계획에 대해 ‘유산영향평가를 받으라’는 권고가 담긴 유네스코 외교문서를 국가유산청을 통해 전달받았지만, ‘(문서의) 영어 의미를 파악할 수 없어 대응방안을 마련할 수 없다’고 회신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영어 의미 파악할 수 없어”…서울시 유네스코 외교 문서에 황당 회신
서울시가 세계 문화유산인 종묘 맞은편에 최고 145m 높이의 고층건물을 허용한 계획에 대해 ‘유산영향평가를 받으라’는 권고가 담긴 유네스코(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외교문서를 국가유산청을 통해 전달받았지만, ‘(문서의) 영어 의미를 파악할 수 없어 대응방안을 마련할 수 없
www.hani.co.kr
November 14, 2025 at 2:45 AM
Reposted by Dr.JHK
스미더스 이런 소리도 했었네. 공격원잠의 개념도 모르는 새끼가 잠수함 사업에 입털었냐??
November 14, 2025 at 3:02 AM
Reposted by Dr.JHK
"문화유산이 밥 먹여 주냐" 라니, 어떤 나라에 가면 '조상 잘 만난 덕에 참 풍족하게들 사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 판에.
November 14, 2025 at 6:00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