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의 절규”…‘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박준영, 사형수 오휘웅 재심→진실 찾는 한과 위로 #꼬리에꼬리를무는그날이야기 #박준영 #오휘웅사건
억울함이란 단어는 언제나 누군가의 오랜 기다림 속에 녹아 흐른다.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에서는 사형수 오휘웅의 50년 간의 절규를 담아내며, 한 시대를 관통한 비극 앞에서 법의 책임, 사회의 시선을 다시 묻는다. 지난 10일 방송된 ‘꼬꼬무’ 183회 ‘특집 : 더 리얼’ 마지막 편은 법조인조차 “전설 같은 사건”이라 일컫는 오휘웅 사건의 단단한 실체와, 그 뒤에 남겨진 가족의 고통과 한숨을 따라간다. 박준영 변호사의 이야기로 시작된 이 여정에는 장성규, 에스파 윈터, 류수영이 리스너로 동참해 현장감과 감정의 진폭을 더했다.
1974년 인천 한 시장통에서, 한 가족의 죽음으로 시작된 사건은 곧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흐른다. 숨진 가족과 그 곁에 남겨진 증언, 그리고 경찰의 수사는 오휘웅이란 이름을 범인으로 지목한다. 그러나 진실은 단순하지 않았다. 자백과 번복, 고문의 그림자, 엇갈린 증언만이 남았고, 결정적인 물증은 끝내 나타나지 않았다. 박준영 변호사는 “증거로 판단해야 한다”며, 무죄를 주장했던 오휘웅의 절박한 목소리를 전했다. 그 현장에는 오휘웅 유가족의 오열이 배어 있었고, 화면을 지켜보던 리스너들은 저마다의 분노와 무력함을 드러냈다. 장성규는 “말도 안 된다”, 류수영은 “무섭다”고 했고, 윈터는 “잘못 없는 사람에게 사형을 내리는 게 죄”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50년의 절규”…‘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박준영, 사형수 오휘웅 재심→진실 찾는 한과 위로 / SBS
사건의 결정적 전환점은 피해자 주 씨가 교도소에서 극단적 선택을 하면서 온다. 사실은 여전히 안개 속에 머물렀고, 오휘웅의 육성은 억울함을 넘는 절망으로 가득했다. 재심을 위한 노력과 현장 검증 원본 사진, 지문 없는 장갑, 사라진 증거들은 뒤틀린 수사의 현실을 폭로했다. 전문가들은 “지금의 기준이라면 무죄가 우세하다”며 법적 판단의 무게를 되새겼다.
방송 제작진은 오휘웅의 동생 오태석 씨를 어렵게 찾아내 그의 증언을 통해 가족이 겪었던 상실의 시간과 아버지의 통곡, 형의 마지막 모습까지 기록했다. 박준영 변호사는 “판결을 다시 펴는 것은 굳은 쇠를 달구는 것과 같다”며, 억울한 판결이 더는 반복되지 않아야 함을 강조했다. 리스너와 출연자, 시청자가 함께 안타까움에 숨을 삼키는 순간이었다.
방송 이후 각종 커뮤니티에서는 ‘꼬꼬무’의 이야기와 스토리텔링이 다시 한번 채널을 사로잡았다는 반응이 이어졌다. 프로그램은 예능, 교양, 드라마를 아우르며 3.7%의 전국 시청률로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무엇보다, ‘꼬꼬무’는 법과 진실, 그리고 한 인생의 명예 회복이라는 무거운 질문을 던지며 시청자의 마음을 파고들었다.
법의 이름으로 남겨진 절망과 가족의 눈물, 그리고 다시 써나갈 진실의 기록.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는 박준영 변호사, 리스너 장성규·윈터·류수영과 함께 사형수 오휘웅의 50년 절규에 귀를 기울였다. 평범한 일상이 지켜져야 할 그날, 억울함을 끝내 풀 수 있는 사회를 향해, 프로그램은 매주 목요일 밤 10시 20분, 시청자의 곁을 지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