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풍에 이틀째 확산중인 경남 산청 산불로 진화대원 2명 숨져…경북 의성 산불도 3단계 #산불 #산청산불 #의성산불 #산림청 #재난경보심각 #대피령 #산불진화 #대형산불 #건조주의보
연합뉴스에 따르면 3월 22일, 전국적으로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는 가운데 대형 산불이 잇따라 발생하며 진화 인력 2명이 숨지고 수백 명의 주민이 긴급 대피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경남 산청과 경북 의성을 비롯한 주요 지역에서 산불 대응 3단계가 발령되면서 산림청은 국가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상향했다.
경남 산청에서는 이틀째 산불이 이어지고 있다. 산림청에 따르면 이날까지 산청 지역 산불 진화율은 오후 1시 기준 70%였으나, 오후 3시에는 65%로 오히려 낮아졌다. 이는 산 정상 부근에서 초속 10m 이상의 강풍이 불며 불길 확산을 키운 영향으로 분석됐다. 진화작업에는 특수진화대와 전문진화대, 공무원, 경찰, 군인 등 1천300여 명과 장비 120대가 투입됐지만 큰불은 잡히지 않은 상태다. 산불영향 구역은 290㏊까지 확산됐고, 전체 화선은 18㎞에 달하며, 남은 불의 길이도 6.1㎞에 이른다. 진화가 지연되는 가운데 창녕군 소속 진화대원 2명이 숨진 채 발견됐으며, 이들의 신원과 사망 경위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주민 대피도 속출했다. 전날 산청 지역 7개 마을에 내려졌던 대피령은 이날 8개 마을로 추가 확대됐다. 이에 따라 최소 213명의 주민이 긴급 대피한 상태다. 산불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에서도 이날 오전 11시 24분께 산불이 발생했다. 산림청은 대응 3단계를 발령하고 헬기 27대, 차량 36대, 인력 375명을 투입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불길은 인근 지역으로 확산됐고, 의성군은 이날 오후 4시 10분과 4시 28분 두 차례에 걸쳐 후죽1리, 업1리, 원당리, 후죽3리, 철파리, 원당2리 주민들에게 의성실내체육관으로 대피하라는 재난 문자를 발송했다. 현재 철파리 주민 100여 명과 한 요양병원 환자 및 관계자 약 70명이 대피했으며, 일부 환자는 안동지역 병원으로 이송 중이다.
울산 울주군 온산읍에서도 낮 12시 12분께 산불이 발생해 산불 대응 1단계가 발령됐다. 인근 마을의 36가구, 60명이 대피했으며, 부울고속도로 온양∼장안IC 인근 양방향 교통이 한때 통제됐다. 김해 한림면 안곡리 야산에서는 오후 2시 2분께 산불이 발생해 진화인력 50여 명과 장비 10여 대가 투입됐지만, 산청 지역에 헬기가 집중 배치돼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구 수성구 옥수동과 북구 국우동, 강원 정선군 덕천리, 경기 동두천시와 연천군 등지에서도 산불이 발생했으나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진화됐다. 그럼에도 이날 하루 동안 전국에서 16건 이상의 산불이 발생하며 피해가 확산됐다.
이에 산림청은 충청, 호남, 영남지역에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상향했다. 서울, 인천, 경기, 강원지역은 ‘주의’에서 ‘경계’로 경보 수준이 높아졌다. 위기경보 ‘심각’ 단계가 발령된 지역에서는 소속 공무원의 4분의 1 이상과 공익근무요원의 절반 이상이 대기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 현재 강원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대구, 울산, 충청북도 일부 지역에는 건조주의보가 발효 중이다.
산림청은 주불 진화를 최대한 일몰 전까지 완료하겠다는 방침이지만, 강풍과 지형 조건으로 인해 진화 작업은 난항을 겪고 있다. 상황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당국은 추가 산불 발생에 대비한 전방위적인 대응 태세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