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아란 🌌 Private
@siaranics.siaran.kr
1.6K followers 95 following 2.9K posts
• 개인 사담 계정 • PhD Engr / 스토리텔러 • 이야기, 철도, 봉제인형, 그리고 레몬 • 나의 일상이 당신의 경이가 되기를 🌐 www.siaran.kr 🪧 www.siaran.kr/pcy_private
Posts Media Videos Starter Packs
Pinned
siaranics.siaran.kr
지난 6월 11일자로 국회 국민동의청원에 접수한 "온라인 혐오 표현 규제 및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정보통신망법 개정에 관한 청원" 과 관련하여, 한달간 11,612분께서 동의해 주셨습니다. 비록 청원 통과의 문턱은 넘지 못했지만, 저 한 사람의 손끝에서 이렇게 많은 분들께 링크가 전해져 연대로 이어졌다고 생각하면 분에 넘치는 숫자라는 생각이 듭니다. 함께해주신 분들, 전달해주신 분들, 응원해주신 분들께 청원인으로서 깊이 감사드립니다.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escapefromdaepa.bsky.social
〈One Battle After Another〉의 "Battle"에 대한 번역어로 "투쟁"을 제안한 친구의 의견에 솔깃. 내게 디자인 능력이 있었더라면 〈투쟁을 넘어 (다음) 투쟁으로〉 같은 제목을 붙인 8, 90년대 대학 운동권 스타일 포스터를 만들어 봤을 텐데.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awkwardro.bsky.social
갑자기 궁금해서 텀블러를 몇번이상 써야 친환경 효과가 나오는지 궁금해서 검색해봤는데 약 220회 이상이라구한다

2017년 1월에 사서 마르고닳도록 썼던 스타벅스 텀블러가 있었는데 한 2020년 말쯤 되니까 너무 낡아서 몸에 해로울것처럼 변해가지고;; 해바뀌면서 새걸로 바꿨는데 고작 !! 3년밖에 쓰지못하다니!! ㅠㅠ 하고 억울해했는데 나름 역할은 했네…

직장에서 쓰던거라 출근하는 날은 무조건 3번 이상 물 따라 마셨으니까… 그치만 너무 금방 낡는 거 같애… 2020년에 샀던것도 마르고 닳도록 쓰니까 2024년초쯤에 칠이 넘 벗겨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pirata.bsky.social
서양검술메모 4쇄!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hanibsky.bsky.social
김건희.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가장 많이 불린 이름입니다. 이 이름은 59차례 언급된 반면, 주요 교육 현안인 고교학점제나 서울대 10개 만들기 등이 등장한 횟수는 각각 29번, 3번에 그쳤습니다. 정치 쟁점이 국감을 압도하며 교육 현안은 저만치 밀려나 버렸습니다.
[현장에서] 교육위 국감서 ‘고교학점제’보다 더 많이 나온 ‘김건희’
김건희. 14일 국회 교육위원회가 교육부와 국가교육위원회(국교위) 등을 대상으로 연 국정감사에서 가장 많이 불린 이름이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59차례 언급됐다. 이 시간 동안 주요 교육 현안인 고교학점제나 서울대 10개 만들기 등이 등장한 횟수는 각각 29
www.hani.co.kr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everblue1223.bsky.social
빈집이 넘쳐나고 분양이 안돼서 아우성이라는데 자기 집 없어서 세들어 사는 사람이나 노숙자가 넘쳐나는게 말이 안 되잖아 개같은 자본주의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gendalf9.net
이게 그 유명(?)한 황건적 구이…?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dmthoth.bsky.social
극우언론지주회사인 악셀스프링거 소유의 언론사애서 저런걸 보도한거 보면 뭔가 꿍꿍이가 있는 것 같기도 하고.. 그래도 독일 회사랍시고 히틀러 칭송은 못봐주겠다며 단독보도한건가?
transborder.bsky.social
美 공화당 MZ 간부들 채팅기록 유출…노예제·히틀러 칭송
송고2025-10-15 16:25

폴리티코, 12명이 1∼8월에 한 2천900쪽 분량 대화 실명 공개
'유출시 논란' 인식…참여자 일부 사과하면서도 배후 주장 www.yna.co.kr/view/AKR2025...
美 공화당 MZ 간부들 채팅기록 유출…노예제·히틀러 칭송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미국 공화당의 MZ세대 청년 간부들이 비밀 채팅방에서 정치적 반대세력을 강간하자고 주장하는 한편 아돌프 히틀러...
www.yna.co.kr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pyeonjeon.bsky.social
그냥 민주당 5선 정치인으로 은퇴했으면 평생 장애인과 소수자 인권에 몸바친 사람으로 기억되었을텐제 변절자에 내란 부역자로 역사에 박제됨. 본인도 10년은 더 정치판에 있을줄 알았겠지
liolseeds.bsky.social
이상민이 반란군도 아니고 그냥 상대당 정치인일 뿐인데 예의상 명복이라도 빌어줘야하는거 아니냐는 분들에게 그가 작년 12월 7일 1차 탄핵안 표결 직후 써제낀 글을 보여드리겠습니다.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transborder.bsky.social
[단독] “김진태의 무능”이 부른 레고랜드 사태…감사원, 확인하고도 덮었다
수정 2025-10-15 17:23 www.hani.co.kr/arti/politic...
www.hani.co.kr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mosocosmos.bsky.social
캄보디아 건에도 중국인 타령 하는데...한국인 범죄 조직이 들어갔으니까 한국인이 타겟이 된거겠죠...중국인 들어갔으면 십수억 인구에서 피해자를 공급받지 뭣하러 한국인 노림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sung-il-kim.com
SBS였나 YTN이었나, 캄보디아 범죄 조직 보도하는데 문장마다 "중국인"이라는 단어가 1~2회 들어가니 아무 뜻이 없다고 생각하기 어렵더라.
mosocosmos.bsky.social
캄보디아 건에도 중국인 타령 하는데...한국인 범죄 조직이 들어갔으니까 한국인이 타겟이 된거겠죠...중국인 들어갔으면 십수억 인구에서 피해자를 공급받지 뭣하러 한국인 노림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hybrideconomics.bsky.social
<공지>

간사입니다.
금일 TV조선의 자료 유출 징계건과 관련해 1진방 투표가 마무리됐습니다.

◇총 57개사 중 55개사 투표

△출입정지 6개월 39표
△출입정지 1년 8표
△기자단 퇴출 8표

기자단 규약상 최다득표에 대해 징계가 이뤄집니다. 이에 따라 TV조선은 10월 15일(수)부터 2026년 4월 14일(화)까지 기자실 및 공식행사 출입, 자료 제공이 불가합니다.
TV조선 출입기자분들은 카톡방 퇴장을 부탁드립니다.
출입정지가 해제되면 다시 초대해드리겠습니다.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hybrideconomics.bsky.social
국토부의 미움받을 용기 ON

... 근데 티조 이유경 기자님 왜 이름을 워터마크에 박으세요.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jinnys0.bsky.social
어느 방송인지는 모르겠는데 중간 모집책 얘기하면서 초대 패널이 조선족 얘기도 하더군요;
sung-il-kim.com
SBS였나 YTN이었나, 캄보디아 범죄 조직 보도하는데 문장마다 "중국인"이라는 단어가 1~2회 들어가니 아무 뜻이 없다고 생각하기 어렵더라.
mosocosmos.bsky.social
캄보디아 건에도 중국인 타령 하는데...한국인 범죄 조직이 들어갔으니까 한국인이 타겟이 된거겠죠...중국인 들어갔으면 십수억 인구에서 피해자를 공급받지 뭣하러 한국인 노림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ice-ame.bsky.social
나이차 많은 친구 있으면 이런것도 알려줌
세상 좋아졌다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hybrideconomics.bsky.social
원래 폭풍은 두 번 몰아칩니다
원래 폭풍은 두 번 몰아칩니다
Reposted by 시아란 🌌 Private
transborder.bsky.social
“하지 않음”의 권력

수정 2025.10.15 18:38

노란봉투법은 2015년 처음 발의된 이후 8년이 지나서야 본회의에 상정되었다. 차별금지법은 2007년 첫 논의 이후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본회의에 오르지 못했다. 이게 권력이 아니라면, 무엇이 권력이겠는가?
www.newspt.kr/news/article...
“하지 않음”의 권력
‘권력’이라는 단어 자체에는 옳고 그름의 가치판단이 담겨 있지 않다. 권력 그 자체를 두고 선악을 논할 수 있을까? 우리가 ‘권력’을 가치판단 가능한 개념으로 바
www.newsp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