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메시지 전송 및 전화통화시 암호화가 안된다면 그건 삼성폰이고 무선 전파 송신 시점부터 이미 평문화 상태로 송신되기 때문에 굳이 가짜 기지국조차도 필요 없이 외부에서 전파만 수신해도 누군가가 발신중인 문자나 전화통화 내용이 고스란히 다 감시자(해커, 스토커 등)한테 유출된다는 소리.
따라서 메시지 전송 및 전화통화시 암호화가 안된다면 그건 삼성폰이고 무선 전파 송신 시점부터 이미 평문화 상태로 송신되기 때문에 굳이 가짜 기지국조차도 필요 없이 외부에서 전파만 수신해도 누군가가 발신중인 문자나 전화통화 내용이 고스란히 다 감시자(해커, 스토커 등)한테 유출된다는 소리.
토르를 써도 잡힌다든가, KT SKT LGU+ 통신사 해킹도 모두 처음엔 불가능한 음모론 취급 받았다.
토르를 써도 잡힌다든가, KT SKT LGU+ 통신사 해킹도 모두 처음엔 불가능한 음모론 취급 받았다.
누군가는 이런 얘길 들으면 음모론 취급하겠지만 애초에 페가수스나 파라곤 따위의 스파이웨어에 대한 얘기도
누군가는 이런 얘길 들으면 음모론 취급하겠지만 애초에 페가수스나 파라곤 따위의 스파이웨어에 대한 얘기도
이스라엘의 페가수스나 파라곤 같은 스파이웨어도 그런 종류 중의 하나겠지만 내가 생각하는 건 그 이상의 해킹이다. 해킹범이 원하는 것이라면 거의 모든게 가능한 숨겨진 < 백도어 > 라든가.
이스라엘의 페가수스나 파라곤 같은 스파이웨어도 그런 종류 중의 하나겠지만 내가 생각하는 건 그 이상의 해킹이다. 해킹범이 원하는 것이라면 거의 모든게 가능한 숨겨진 < 백도어 > 라든가.
3. 접속 이후에도 원하는 메뉴로 들어갈 때 수시로 네트워크 변경 감지 알림이 뜨거나, 리다이렉션이 일어나거나, 사실상 사이트(페이지) 연결 시도가 중단된 듯이 더 이상 송수신 데이터가 오고가지 않을 정도로 한참 동안 그냥 멈춰있기만 하기 일쑤.
굳이 KT 사이트가 아니더라도 데이터 연결시 3번 같은 이상 증상이 일어나는걸 수시로 겪는데 제일 가까운(또는 무선신호가 가장 강한) 기지국 해킹으로 중간자 공격 당할 때나 가능한 증상들.
3. 접속 이후에도 원하는 메뉴로 들어갈 때 수시로 네트워크 변경 감지 알림이 뜨거나, 리다이렉션이 일어나거나, 사실상 사이트(페이지) 연결 시도가 중단된 듯이 더 이상 송수신 데이터가 오고가지 않을 정도로 한참 동안 그냥 멈춰있기만 하기 일쑤.
굳이 KT 사이트가 아니더라도 데이터 연결시 3번 같은 이상 증상이 일어나는걸 수시로 겪는데 제일 가까운(또는 무선신호가 가장 강한) 기지국 해킹으로 중간자 공격 당할 때나 가능한 증상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