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
@horinn.bsky.social
630 followers 430 following 8.5K posts
당신이 아는 그 고래🐳 얕고 너른 잡덕 지향/자연발생 골드니스 야생의 스쿠버 다이버🪸 🤿PADI Scuba inst. #559737 조혜령 🌊PADI TecRec 🏞GUE Fundamentals 🏝AIDA Freediver 🌏GREEN DIVER Pls Don't resize and re-upload my picture 스쿠버 교육 문의 : https://litt.ly/w.acoustic
Posts Media Videos Starter Packs
Pinned
horinn.bsky.social
저 블스에 영상 되면 이거 너무너무 올리고 싶었어요
humpback whale in Okinawa🦑
horinn.bsky.social
한국이름
끄덕새우
끄덕끄덕
horinn.bsky.social
왕귀여운 댄싱새우도 봐줘
Reposted by 고래
flambeclub.bsky.social
갓 제조 같은 전통 문화가 맥이 끊기게 생겼다면, 그냥 끊겨야 되는 거라고 생각한다. 그게 가부장제와 사람갈아넣고보자 정신 같은 걸 청산하지 못한 채로 케데헌까지 도달하고 만 한국의 업보이다. 그냥 달게 받으라.
Reposted by 고래
heartade.dev

성남시 향토 특산물: 게임
기사 일부 갈무리. "이 대통령은 성남시장 시절 판교 인근에 모여 있는 게임산업에 큰 관심을 가졌었다며 "고향에서 하던 사업 같다"고 친근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라고 적혀 있음.
horinn.bsky.social
눈동자가 그렁그렁🥹
horinn.bsky.social
핫 그렇군요!! 찾아보니 연체동물군이네요ㅇ0ㅇ
horinn.bsky.social
이번추석 다이빙에사 건진건 요정도네요
오랜만에 카메라 들고 드가니까 재밌었다
horinn.bsky.social
개오지붙이라고 하는 조개의 일종
horinn.bsky.social
야따의 꽃말은 갑각류
horinn.bsky.social
코앞에서 놀다 간 한치 칭구들
horinn.bsky.social
왕귀여운 댄싱새우도 봐줘
horinn.bsky.social
넘 맘에 들게 찍힌 사진이예요ㅋㅋㅋ
horinn.bsky.social
쏨뱅이 눈..완전잘찍혔죠
horinn.bsky.social
물칭구를 찾아보세요
horinn.bsky.social
물칭구를 찾아보세요
horinn.bsky.social
소라게가 얼굴을 내미는것을 1~2분정도 기다리다가 포착한 영상
이거 찍는거 넘 즐겁더라
horinn.bsky.social
소라게 보고 가십셔
horinn.bsky.social
일본도 픽코마랑 라인망가 생각하면 한국이 파이가 크긴한데
거긴 엠씨피도많고 전자서점이 진짜 엄청많이있어서.. 여튼 다른 나라들처럼 웹툰플폼이 한두개있고 그걸 한국회사가 소유하고있고 이렇게만 운영되고있지는 않음
horinn.bsky.social
저 구조를 옹호하는것은 아니고요
일을 하면서 체감상 느낀 부분과 구조에 대해서 말하는것이긴합니다...
지금 거의 한국기업들이 일본빼고 전세계 웹툰플랫폼을 다 먹고 파이를 나눠먹고 아웅다웅하고있어서 저 구조를 피해서 해외유통이 되기도 쉽지는 않은 상황이고요....
horinn.bsky.social
참고로 해외서비스의 경우는 번역/편집을 어디서 하느냐가 수익배분율 조율의 키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horinn.bsky.social
예를 들어 A사에서 A' 플랫폼과 A''플랫폼을 동시운영하고 있으면
A'와 A''의 매출에서 수수료를 한번만 떼어서 수익배분을 해주는게 가능한데
A사에서 A'에 연재하는 작품을 계열사 플랫폼인 B'에 유통하면
어쨋건 별개의 회사로 유통하는거기때문에 B'의 플랫폼수수료를 뗀다음에 A사에서는 수령금액을 바탕으로 작가님과 수익배분을 하게되는 느낌

A->B'에 유통을 할때 어쨌건 계약을 맺고 A든 B'든 번역 및 편집작업도 할테고 B'가 꾸려놓은 플랫폼인프라에 타는거기때문에 수수료를 안내는건 말이 안된다는 의미임....
horinn.bsky.social
근데 제가 알기로 계열사에 뭔가 혜택을주면 공정거래법상 문제가 있어서 수수료 덜 떼는것도 뭔가 문제가 되는걸로 알고있고요(계열사 우대해주면 부당지원행위가 될수있느니걸로 알고있어요)
정말로 복잡한문제임....
horinn.bsky.social
앱스토어수수료(3~40%)-해외플폼수수료(4~60%)-세금-떼고 나서 들어온걸 에이전시(플폼직계면 플폼)랑 작가랑 나누는 구조인데
여기서 이제
카카페 계열로 픽코마, 타파스 등등
네이버 계열로 라인망가, 코미코 등등
키다리 계열로 레진/델리툰 등등
이렇게 되어있긴 함
근데 아예 같은회사인가?하면.....자회사이지만 별개의 회사고
계열사라고 해서 해외플폼에 서비스를하고 아예 수수료를 안떼가는게 가능한가? 이건 잘 모르겠음

레진같은경우는 해외플폼도 직운영으로 알고 있어서 이런경우는 체감상 중복으로 떼어가는 느낌이 있고...
Reposted by 고래
jejuorange.bsky.social
@ : 이거 “글로벌” 기준입니다
레진 봄툰도 해외수익 90%고, 카카페도 픽코마+카카오 수익떼면 80%전후 남고
다른 플랫폼도 해외수익은 이중 삼중으로 떼이고 결국 8-90%입니다.
해외라고 결국 같은 회사에서(카카페-픽코마, 네이버웹툰-라인망가…etc) 두 번 떼는 업계 상황을 개편해야 합니다….
jejuorange.bsky.social
네이버웹툰 글로벌 서비스 시 월 매출이 3천만원 넘어가면 매출 90%를 네이버가, 작가는 10% 가져간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