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성·경남 산청 산불 피해 70명…사망 30명·부상 40명 #경북산불 #경남산불 #안동산불 #의성산불 #산청산불 #하동산불 #산불피해 #산불진화 #이재민 #환경부 #중대본 #재난구호
뉴시스에 따르면 경북 의성군과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해 인명 피해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29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오전 9시 기준으로 사망자가 30명으로 집계됐으며, 부상자는 40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사망자 수는 전날 오후 8시 기준 28명에서 두 명 증가했다.
정부가 관리하는 산불 11개 중 10개는 주불 진화가 완료됐으며, 경남 산청·하동의 경우 현재 진화율은 96%로 보고됐다.
산불로 인한 피해 시설은 4801곳에 달하며, 이 중 경북 지역에서 4701곳이 피해를 입어 가장 큰 피해를 기록했다. 경남에서는 83곳, 울산에서는 15곳, 전남에서는 2곳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북 안동에서는 주택 750곳, 농업시설 756곳, 문화재 4곳, 기타 10곳이 불에 타 피해가 가장 컸다. 경북 영덕에서는 주택 1172곳, 농업시설 76곳, 사찰 3곳, 기타 169곳이 소실됐으며, 경북 청송에서는 주택 625곳, 농업시설 266곳, 문화재 9곳, 사찰 2곳, 기타 220곳이 피해를 입었다. 경북 의성에서는 주택 303곳, 농업시설 40곳, 사찰 3곳, 기타 159곳이, 경북 영양에서는 주택 106곳, 사찰 1곳, 기타 18곳이 소실됐다.
뉴시스
경남 김해와 충북 옥천의 피해 규모는 아직 조사 중이다.
국가유산 피해는 국가가 지정한 11건, 시·도가 지정한 19건을 포함해 총 30건으로 집계됐다.
산불로 인해 발생한 이재민은 4193세대 6885명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산청·하동에서 713명,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에서 6172명이 집을 잃고 대피 중이다.
정부는 진화 작업을 위해 헬기 55대와 인력 1598명, 진화장비 224대를 투입하고 있다. 또한 산불 피해 현장지원반을 기존 2개반에서 7개반으로 확대하며, 주말 기온 하락에 대비해 이불과 방한매트를 미리 준비했다.
이와 함께 임시주거시설 운영 및 대피주민 구호활동을 위해 재난구호사업비 2억3000만원을 추가로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세부담 완화, 공공요금 감면, 긴급대출 지원 등 다양한 재정 및 세제 지원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구호단체를 통한 기부금은 현재까지 약 554억 원이 모금됐으며, 이는 이재민의 생계 지원을 위해 식료품 구입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추가 산불 예방을 위해 국립공원 탐방 통제 구간 및 기간을 확대하고 불법 소각 단속을 강화할 방침이다. 전국 8개 환경청에서 22개 감시팀, 50명의 인력을 투입해 18개 시군에서 불법 소각을 계도 및 단속하고 있다.
또한 산불 후속 조치를 위해 오는 31일부터 환경부 내 폐기물처리 지원반을 가동하여 폐기물 생산량 조사 및 수거·처리를 지원할 예정이다. 특별재난지역에서는 처리비 전액을 국고로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경북 청송 등 피해 지역의 단수 인구는 1079명으로, 31일까지 먹는 물 복구가 완료될 예정이다. 정부는 전날까지 병입수돗물 9만 병을 지원했으며 필요 시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특별재난지역 내 광역 상수도 요금을 전액 감면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산불 잔재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질 및 수생태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정수장 관리도 철저히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