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lpint.bsky.social
문제는,
- 생산이 제한되고, 수요는 꾸준하니 공급만 좀 막으면 쌀값이 뛰겠다는 생각을 누군가 함.
- 유통경로가 다변화돼 조금씩 나눠 사들이는 매점매석꾼이 나와도 추적이 어려움.
- 일본인들은 고시히카리 등 일본쌀이 최고라고 생각해 수입쌀, 정부비축미 등을 싫어함.
- 쌀값이 오르는 추세다보니 일반인들도 따라서 쌀 사재기를 시작해 폭등세 지속.
끊기 어려운 악순환의 고리지만 잘 해결되기를. 남 얘기 같지 않음.
- 생산이 제한되고, 수요는 꾸준하니 공급만 좀 막으면 쌀값이 뛰겠다는 생각을 누군가 함.
- 유통경로가 다변화돼 조금씩 나눠 사들이는 매점매석꾼이 나와도 추적이 어려움.
- 일본인들은 고시히카리 등 일본쌀이 최고라고 생각해 수입쌀, 정부비축미 등을 싫어함.
- 쌀값이 오르는 추세다보니 일반인들도 따라서 쌀 사재기를 시작해 폭등세 지속.
끊기 어려운 악순환의 고리지만 잘 해결되기를. 남 얘기 같지 않음.
March 14, 2025 at 11:02 AM
문제는,
- 생산이 제한되고, 수요는 꾸준하니 공급만 좀 막으면 쌀값이 뛰겠다는 생각을 누군가 함.
- 유통경로가 다변화돼 조금씩 나눠 사들이는 매점매석꾼이 나와도 추적이 어려움.
- 일본인들은 고시히카리 등 일본쌀이 최고라고 생각해 수입쌀, 정부비축미 등을 싫어함.
- 쌀값이 오르는 추세다보니 일반인들도 따라서 쌀 사재기를 시작해 폭등세 지속.
끊기 어려운 악순환의 고리지만 잘 해결되기를. 남 얘기 같지 않음.
- 생산이 제한되고, 수요는 꾸준하니 공급만 좀 막으면 쌀값이 뛰겠다는 생각을 누군가 함.
- 유통경로가 다변화돼 조금씩 나눠 사들이는 매점매석꾼이 나와도 추적이 어려움.
- 일본인들은 고시히카리 등 일본쌀이 최고라고 생각해 수입쌀, 정부비축미 등을 싫어함.
- 쌀값이 오르는 추세다보니 일반인들도 따라서 쌀 사재기를 시작해 폭등세 지속.
끊기 어려운 악순환의 고리지만 잘 해결되기를. 남 얘기 같지 않음.
- 저는 지금까지 140억 달러의 세금을 냈지만, 더 좋은 세금 제도가 있었다면 400억 달러를 냈을 것입니다. 세금 제도를 개선해(서 부자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거둬)야 해요.
- 실리콘밸리가 항상 이념적으로 왼쪽에 서 있다고 생각했는데, 오른쪽에 저렇게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는데 놀라고 있습니다.
- 사람들은 억만장자들이 뭔가 하나에 성공했다고 다른 것도 잘 할 거라고 (잘못) 생각해요.
( )는 문맥상 오해를 막기 위해 추가
- 실리콘밸리가 항상 이념적으로 왼쪽에 서 있다고 생각했는데, 오른쪽에 저렇게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는데 놀라고 있습니다.
- 사람들은 억만장자들이 뭔가 하나에 성공했다고 다른 것도 잘 할 거라고 (잘못) 생각해요.
( )는 문맥상 오해를 막기 위해 추가
January 30, 2025 at 11:20 PM
- 저는 지금까지 140억 달러의 세금을 냈지만, 더 좋은 세금 제도가 있었다면 400억 달러를 냈을 것입니다. 세금 제도를 개선해(서 부자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거둬)야 해요.
- 실리콘밸리가 항상 이념적으로 왼쪽에 서 있다고 생각했는데, 오른쪽에 저렇게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는데 놀라고 있습니다.
- 사람들은 억만장자들이 뭔가 하나에 성공했다고 다른 것도 잘 할 거라고 (잘못) 생각해요.
( )는 문맥상 오해를 막기 위해 추가
- 실리콘밸리가 항상 이념적으로 왼쪽에 서 있다고 생각했는데, 오른쪽에 저렇게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는데 놀라고 있습니다.
- 사람들은 억만장자들이 뭔가 하나에 성공했다고 다른 것도 잘 할 거라고 (잘못) 생각해요.
( )는 문맥상 오해를 막기 위해 추가
예를 들어 구글시트에 데이터를 잔뜩 입력해 놓은 뒤 "이 데이터에서 인사이트를 뽑아주거나, 트렌드를 파악해 줘"라고 말하면 차트를 그리고 설명해주는 식.
처음 ChatGPT가 등장했을 땐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장 이익을 볼 거라 생각했는데, 구글이 지난 2년간 맹렬히 따라잡은 모양새. 역시 경쟁이 중요함.
처음 ChatGPT가 등장했을 땐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장 이익을 볼 거라 생각했는데, 구글이 지난 2년간 맹렬히 따라잡은 모양새. 역시 경쟁이 중요함.
January 30, 2025 at 10:59 PM
예를 들어 구글시트에 데이터를 잔뜩 입력해 놓은 뒤 "이 데이터에서 인사이트를 뽑아주거나, 트렌드를 파악해 줘"라고 말하면 차트를 그리고 설명해주는 식.
처음 ChatGPT가 등장했을 땐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장 이익을 볼 거라 생각했는데, 구글이 지난 2년간 맹렬히 따라잡은 모양새. 역시 경쟁이 중요함.
처음 ChatGPT가 등장했을 땐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장 이익을 볼 거라 생각했는데, 구글이 지난 2년간 맹렬히 따라잡은 모양새. 역시 경쟁이 중요함.
그런데 사실은,
- 애플은 아이폰 말고 워치, TV, 비전프로 등도 만들었지만 무엇보다 애플실리콘을 개발. 이것 때문에 인텔마저 나락.
- 에어팟(메타 레이밴 썬글라스)과 아이메시지(왓츠앱), 비전프로(퀘스트)는 메타 서비스 때문에 하는 소리라는 인상이 너무 강함.
저커버그가 젊은 시절 세계인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묶겠다고 할 땐 정말 멋졌는데, 지금은 소셜미디어 왕국의 제왕이 되기보다는 세계 최대 광고회사의 재벌이 되려는 듯. 꿈이 작아진 것 아닙니까.
- 애플은 아이폰 말고 워치, TV, 비전프로 등도 만들었지만 무엇보다 애플실리콘을 개발. 이것 때문에 인텔마저 나락.
- 에어팟(메타 레이밴 썬글라스)과 아이메시지(왓츠앱), 비전프로(퀘스트)는 메타 서비스 때문에 하는 소리라는 인상이 너무 강함.
저커버그가 젊은 시절 세계인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묶겠다고 할 땐 정말 멋졌는데, 지금은 소셜미디어 왕국의 제왕이 되기보다는 세계 최대 광고회사의 재벌이 되려는 듯. 꿈이 작아진 것 아닙니까.
January 13, 2025 at 2:18 AM
그런데 사실은,
- 애플은 아이폰 말고 워치, TV, 비전프로 등도 만들었지만 무엇보다 애플실리콘을 개발. 이것 때문에 인텔마저 나락.
- 에어팟(메타 레이밴 썬글라스)과 아이메시지(왓츠앱), 비전프로(퀘스트)는 메타 서비스 때문에 하는 소리라는 인상이 너무 강함.
저커버그가 젊은 시절 세계인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묶겠다고 할 땐 정말 멋졌는데, 지금은 소셜미디어 왕국의 제왕이 되기보다는 세계 최대 광고회사의 재벌이 되려는 듯. 꿈이 작아진 것 아닙니까.
- 애플은 아이폰 말고 워치, TV, 비전프로 등도 만들었지만 무엇보다 애플실리콘을 개발. 이것 때문에 인텔마저 나락.
- 에어팟(메타 레이밴 썬글라스)과 아이메시지(왓츠앱), 비전프로(퀘스트)는 메타 서비스 때문에 하는 소리라는 인상이 너무 강함.
저커버그가 젊은 시절 세계인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묶겠다고 할 땐 정말 멋졌는데, 지금은 소셜미디어 왕국의 제왕이 되기보다는 세계 최대 광고회사의 재벌이 되려는 듯. 꿈이 작아진 것 아닙니까.
나아가 "제도적 검열을 차곡차곡 쌓아올려 혁신을 가로막는 유럽"이나, "그림자 법원에서 콘텐츠를 통제하는 중남미", "그런 것도 없이 그냥 몽땅 통제하는 중국" 같은 후진 정부의 검열에 저항하기 위해 '가장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는 헌법을 갖춘' (트럼프의) 미국 정부와 함께 외국 정부의 잘못된 규제에 저항하겠다고.
이 얘기를 페이스북에 쓰고 있었는데, 생각해보니 저커버그 포스팅을 이놈들이 그냥 놔둘리가 없지. 블루스카이가 이런 이유에서 필요하구나...
어쨌든 정권 바뀌었다고 이렇게 갑자기 막 나가니 내 정신도 혼미해진다.
이 얘기를 페이스북에 쓰고 있었는데, 생각해보니 저커버그 포스팅을 이놈들이 그냥 놔둘리가 없지. 블루스카이가 이런 이유에서 필요하구나...
어쨌든 정권 바뀌었다고 이렇게 갑자기 막 나가니 내 정신도 혼미해진다.
January 8, 2025 at 12:51 PM
나아가 "제도적 검열을 차곡차곡 쌓아올려 혁신을 가로막는 유럽"이나, "그림자 법원에서 콘텐츠를 통제하는 중남미", "그런 것도 없이 그냥 몽땅 통제하는 중국" 같은 후진 정부의 검열에 저항하기 위해 '가장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는 헌법을 갖춘' (트럼프의) 미국 정부와 함께 외국 정부의 잘못된 규제에 저항하겠다고.
이 얘기를 페이스북에 쓰고 있었는데, 생각해보니 저커버그 포스팅을 이놈들이 그냥 놔둘리가 없지. 블루스카이가 이런 이유에서 필요하구나...
어쨌든 정권 바뀌었다고 이렇게 갑자기 막 나가니 내 정신도 혼미해진다.
이 얘기를 페이스북에 쓰고 있었는데, 생각해보니 저커버그 포스팅을 이놈들이 그냥 놔둘리가 없지. 블루스카이가 이런 이유에서 필요하구나...
어쨌든 정권 바뀌었다고 이렇게 갑자기 막 나가니 내 정신도 혼미해진다.
일단은 극장개봉 영화의 마케팅 예산이 크기 때문. 하지만 영화가 점점 프랜차이즈화 하는 것도 큰 이유. 예를 들어 인기 속편의 개봉이 있을 경우 스트리밍에서 전편을 보는 수요도 함께 늘어나. 존윅, 혹성탈출 등의 새 시리즈가 나올 때마다 이전작 몰아보기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덕분. 심지어 조커 폴리아되 같은 영화는 극장 흥행이 실패했으나 스트리밍에서 성공하면서 손실을 회복하기도.
December 18, 2024 at 12:35 AM
일단은 극장개봉 영화의 마케팅 예산이 크기 때문. 하지만 영화가 점점 프랜차이즈화 하는 것도 큰 이유. 예를 들어 인기 속편의 개봉이 있을 경우 스트리밍에서 전편을 보는 수요도 함께 늘어나. 존윅, 혹성탈출 등의 새 시리즈가 나올 때마다 이전작 몰아보기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덕분. 심지어 조커 폴리아되 같은 영화는 극장 흥행이 실패했으나 스트리밍에서 성공하면서 손실을 회복하기도.
“이 드론들을 보면 우측에 녹색등, 좌측에 적색등, 그리고 미국 연방항공청의 야간비행 규제에 따른 스트로브 조명이 달려 있습니다. 그러니까 외계인이나 이란 스파이가 항공청 규제를 따라 야간비행중이라는 뜻이겠죠? 아니면 그들이 아니거나."
December 14, 2024 at 2:21 AM
“이 드론들을 보면 우측에 녹색등, 좌측에 적색등, 그리고 미국 연방항공청의 야간비행 규제에 따른 스트로브 조명이 달려 있습니다. 그러니까 외계인이나 이란 스파이가 항공청 규제를 따라 야간비행중이라는 뜻이겠죠? 아니면 그들이 아니거나."
실리콘밸리 샌드힐로드는 a16z 스타일의 VC가 늘어나면서 뉴욕의 월스트리트처럼 거대한 금융자본이 몰리는 새로운 금융허브가 됐음. 이런 대형 VC들은 운용 펀드가 커질수록 수수료도 늘어나기 때문에 스타트업 투자 후 후속 투자를 이어가며 기업가치를 자가발전. 스타트업들도 수익을 빨리 내기보다 투자금으로 몸집부터 키우는데 골몰. 반면 투자가 성공적으로 회수(IPO, 인수합병 등)되어야 생존할 수 있는 작은 VC들에겐 점점 더 어려운 환경.
December 13, 2024 at 11:00 PM
실리콘밸리 샌드힐로드는 a16z 스타일의 VC가 늘어나면서 뉴욕의 월스트리트처럼 거대한 금융자본이 몰리는 새로운 금융허브가 됐음. 이런 대형 VC들은 운용 펀드가 커질수록 수수료도 늘어나기 때문에 스타트업 투자 후 후속 투자를 이어가며 기업가치를 자가발전. 스타트업들도 수익을 빨리 내기보다 투자금으로 몸집부터 키우는데 골몰. 반면 투자가 성공적으로 회수(IPO, 인수합병 등)되어야 생존할 수 있는 작은 VC들에겐 점점 더 어려운 환경.
나를 포함, 한국의 나이든 세대에게는 미국은 뭐든 선진적이고, 배워야 할 존재라는 일종의 몸에 굳은 선입견이 있음. 그런데 요즘 벌어지는 일들은 (우리도 잘난 건 없지만) 그런 선입견을 몽땅 사라지게 함. 사람 사는 곳 다 똑같지 뭐.
December 12, 2024 at 5:00 AM
나를 포함, 한국의 나이든 세대에게는 미국은 뭐든 선진적이고, 배워야 할 존재라는 일종의 몸에 굳은 선입견이 있음. 그런데 요즘 벌어지는 일들은 (우리도 잘난 건 없지만) 그런 선입견을 몽땅 사라지게 함. 사람 사는 곳 다 똑같지 뭐.